본문 바로가기

#DevStudy/자료구조 & 알고리즘2

[자료구조] 배열과 연결리스트 배열(Array) 배열은 선형 자료구조이면서 연속된 자료구조에 속한다. 연속된 자료구조는 모든 원소를 단일 청크에 저장한다. 특정 원소에 접근할 때 주변의 인접한 메모리도 캐시로 가져온다. 다시 주변 원소에 접근할 때 빠른 동작이 가능하다. (캐시지역성) 모든 원소를 첫번째부터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경우, 다음 원소를 캐시에서 바로 참조할 수 있다. 원소들은 같은 자료형과 같은 크기의 메모리를 사용한다. 원소의 수에 상관없이 모든 원소에 바로 접근이 가능하다 = O(1) 첫번째 원소의 메모리 주소가 Addr이면 두번째 원소의 메모리 주소는 Addr + (자료형의 크기) 세번째 원소의 메모리 주소는 Addr + (자료형의 크기) * 2 n번째 원소의 메모리 주소는 Addr + (자료형의 크기) * (n - .. 2022. 8. 12.
[자료구조] 개요 데이터(Data)란,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숫자, 기호, 알파벳의 모음. 자료구조(Data Structure)란,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어떠한 행위를 수행할 때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모아두는 어떠한 구조. 자료구조를 공부하는 이유 데이터를 어떻게 저장하고 관리해두느냐에 따라, 데이터를 처리할 때 작업 효율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. 처리하고자 하는 일에 적합한 자료구조를 쓰면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이 가능하다. 자료구조의 종류 선형 자료구조 - 데이터가 선형적으로(일렬로) 나열되어 저장되는 형태 - 배열(Array), 리스트(List), 스택(Stack), 큐(Queue) 등. 비선형 자료구조 - 데이터가 특별한 규칙으로 저장되는 형태 - 트리(Tree), 그래프(Graph) 등. 2022. 8. 5.